롯데마트 통큰친킨 얘기 입니다. 이미 창고형 매장은 손님을 끌기 위해 여러가지 사회적인 이슈를 마켓팅에 반영 합니다.
유능한 마켓터들이 이슈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을 하고
요구르트를 10원에 팔기도 하고, 아래처럼 배추를 세일해서 이슈를 만들었지요.
이마트 피자나 롯데마트 통큰치킨은 자연스런 마켓팅의 접근 방식 입니다.
이걸 반대 하면서 반응이 커질수록 마켓터의 승리입니다.
적은 투자로 언론에 대서 특필되고 있지요.
너무 싸게 판매해서 욕을 먹는 로빈훗이 되어 좋아 할겁니다.
검색어로도 이미 패러디가 나오고 블로그를 메꾸어 나가니,
사실 배달 해주면서 이가격이라면 파격적이지만, 장작구이 2마리에 1만원 파는 치킨과 비교를 해야지
배달해주는 치킨과 비교를 해서는 안되는데 말이지요.
빼빼로 데이도 성공적인 이슈로 고착화 시킨 두뇌들이 모여 있는 대기업 입니다..
소비자들도 그만큼 현명해 지고 있지요 이런 상술을 모르고 있지는 않아요. 구입 하면서 재미 삼아 바코드 검색을 해보니 가격 비교가 나오네요.
이건 그럼 현명한 선택.
역시 큰업체 인지라 PB 상품과 포장을 재포장한 내부 상품은 가격비교가 불가능 합니다.
평소에 즐기던 커피를 검색해봤습니다. 수프리모 2,700원 묶음 상품이 저렴하지 않을수 있다는 농수산물은 재래시장이 저렴 하고.
옥션이나 지마켓이 단품구매에서는 저렴 할수도 있다는 공식들.
다히 스마트폰 덕에 3700원 절약 했습니다.
마켓팅 효과가 언제 까지 갈지는 모르지만, 치킨시장 업계에는 뿌린 화두는 피해가 큰것 같습니다.
경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아 이익을 얻는 쪽이 있으면 잃는 쪽도 있게 마련 이니까요.
그럼 KFC 는 통큰 치킨과 영향이 없을까요? 어떻게 봐서는 배달 치킨이 타격을 받을게 아니라
KFC나 트럭위의 장작치킨이 타격을 받아야 하는데. 논란이 되는건 배달 치킨 입니다.
검색을 해봐도 KFC 아예 언급 조차 하지도 되지도 않고 있습니다.
이건 무슨 현상인지 결과가 궁금해집니다.
저만의 생각은 아니겠지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