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원목루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원목루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1월 29일 화요일

긍정적인 관점으로 보면 반드시 출구가 있습니다. 입구가 있었으니까요.

동물의 왕국을 보면, 약한 동물이 사냥한걸 빼앗는게 가장 쉬운 사냥 방법 입니다.
확대해보면 아이들 사탕 빼앗는거나, 삥뜻는거나 비슷한 맥락 입니다.
소상공인, 중소기업 아이템을 가로 채는것도 가장 쉬운 아이템 획득 방법 이지요.

이렇게 만들어둔 경제구조가 결국은 내주변의 친지들까지도 큰 기업에 관련된
아이템을 가지지 않으면 할게 없는 구조가 되었고,

결국은 극심한 양극화의 대한민국이 되고 있습니다.
Dog eat dog.의 시기 이때 살아 남을수 있는건 아예 크거나 작거나 입니다.
고객 여러분이 어려운 만큼 철천지 사람들도 같은 나라에 살고 있으니 현상은 같습니다.
다만, 관점이 다른것 뿐이지요.
긍정적인 관점으로 보면 반드시 출구가 있습니다. 입구가 있었으니까요.

철천지를 항상 어려움에서 구해낸것이 DIY 입니다.
어려운 경제상황속에서 모든것을 지키고 해결해 나갈수 있는것은

결국 DIY 문화 입니다.

77gDSC06980-20130129-155934

기업은 이익 추구가 목적 이라고 합니다만,
100년 기업을 위한 회사는 고객과 공존하기 위해 회사를 운영 합니다.
기업의 존재 이유를 철천지는 알고 있으니까요.

고객여러분 감사합니다. 꾸~벅..
------------------------------------------

diy로 접근하기 위한 투명한 방법들을 철천지 사람들은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철천지는 내부적으로 사실만을 보고 판단하는 회사가 되었습니다.
좋은 대학을 나오고 성적이 우수한게 중요한게 아니라,
현실에서 실천을 하고 있는지를 보고 판단 하고 있습니다.

변명과 이유를 늘어 놓지 않고, 겸손하게,
만들어진 계획에 따라서 움직인 팀들은 성과가 있을겁니다.

철천지를 항상 어려움에서 구해낸것이 DIY 입니다.
어려운 경제상황속에서 모든것을 지키고 해결해 나갈수 있는것은

결국 DIY 문화 입니다.

철천지 사람들의 이야기들..

1999년 부터 차곡이 쌓아온 철천지의 DIY 정신
철천지는 할줄 안다는것과 잘한다는 것의 차이를 알기 때문에..

현명한 소비문화 DIY가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수 있는 가장 모범적인 답이라는것을 알려드리기 위해
여러분들도 철천지의 경험처럼 어려운 시기를 DIY로 극복 해보세요.

철천지의 성장을 지켜 보고 계시는 고객 여러분 감사합니다. 꾸~벅

------------------------------------------

2만불 소득은 경쟁의 논리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3만불 시대는 공생의 논리, 축하의 논리가 아니면 절대 불가능 하다고 본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와 같은 속담이 없어질때, 국가의 미래는 한층 높은 수준으로 도양할것이다.

-무지개 원리 중에서
------------------------------------------

굵직한 제품들이 모두 출고되고, 삼나무 재단 입니다.

77gDSC06959-20130129-114356

소나무를 작게 자른 스위치 커버 입니다.

77gDSC06961-20130129-114404

코팅합판 18mm 입니다.

77gDSC06962-20130129-114408

문짝용으로 사용되는 uv 코팅합판 입니다.

77gDSC06963-20130129-114410

77gDSC06964-20130129-114414

코팅이 모두 된 상태 입니다.

77gDSC06969-20130129-140621

자작합판은 좁게 재단한 사진 입니다.

77gDSC06965-20130129-114422

싱크대 문짝으로 사용될 스마트바 손잡이 입니다.

77gDSC06967-20130129-140533

코팅합판이 입고 되었습니다.

77gDSC06966-20130129-140455

77gDSC06970-20130129-140626

홍송루바 입니다. 벽면 패널용으로 사용합니다.

77gDSC06971-20130129-140631

특수가공으로 주문하신 수납장 입니다.

77gDSC06972-20130129-140642

전체를 목심만으로 조립 할수 있도록 해두었구요.

77gDSC06973-20130129-152905

77gDSC06974-20130129-152907

칸에 3mm mdf 를 끼울수 있도록 가공을 했습니다.

77gDSC06980-20130129-155934[1]

원목 식탁 입니다.

77gDSC06975-20130129-152911

77gDSC06976-20130129-152915

문짝을 가공중입니다.

77gDSC06978-20130129-155753

격자 모양으로 가공한 촘촘수납장 입니다.

77gDSC06977-20130129-152926

77gDSC06979-20130129-155759

시즈닝 수납장입니다. 서랍 2개 짜리 입니다.

77gDSC06960-20130129-114401

77gDSC06968-20130129-140618

포장작업 중 입니다.

77gDSC06981-20130129-165553

77gDSC06982-20130129-165611

------------------------------------

현명한 소비문화 DIY 보급을 위해 철천지에서 2010년 5월부터 철천지사람들이라는 작업일기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보내 드리는 철천지의 작업일기입니다.

2011년 11월 23일 수요일

서랍만들때 고생 하셨지요? 서랍레일 고정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어제보단 날씨가 좀 풀린거 같네요~

화요일 철천지는 무슨일이 있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아침부터 목재가 들어왔습니다.

스프러스 삼나무 소나무 미송합판 mdf 자작합판 등등등!!!

빛의 속도로 입고된 목재를 나르시는 과장님

멋지지 않나요?ㅋ ㅑ

박주임님은 시즈닝 특대형 아일랜드 식탁을 가조립 해보고 계시는군요~~

뒷판도 스프러스로 하였고, 특이한점은 60각재로 다리가 있습니다.

가공완료 되어 출고 대기중 이네요^^

루바가 대기중입니다,.

미송패널판 입니다.

MDF 12MM 큼지막한 사이즈네요^^

미송합판도 보이구요

저는 스마트 벙커침대를 가공하였습니다.일단 다리부터~

중간기둥도 만들고!

가공완료! 출고 대기중~

점심시간에 난로 앞에서~

철물의 현준씨 입니다~목재에 와서 뗄감을 가져가느라 고생이 많네요 ㅋ

이대리님께서 또 먼가를 만드실려고 합니다.

뚝딱뚝딱!

삼나무로 순식간에 장이 하나 완성되었네요^^

렉산 유리문도 가공중입니다. 클램프로 잡은거 보이시죠?

그리고 홈파서 생긴 공간은 자투리로 막아줍니다^^

어느덧 용달로 나갈 물건들도 이만큼 쌓였습니다^^

갤러리문을 가공중인 박주임님~

포장이 바빠 완성은 하지못했군요~ㅋ내일 공개해 드릴께요

그리고 영주임님이 가공하신 미첼 서랍장을 살펴볼까요

재료를 잘 분리해 놓고~

걸레받이와 보강대등은 본드발라서 목심끼워주시기만 하면 끝입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서랍레일 다는 것 을 어려워 하시는 것 같은데요

서랍레일 다는 것 어렵지 않아요~

측판에 60mm정도 띄워서 줄을 그어주고~

앞엔 서랍앞판이 들어가니까 18mm만큼 표시해줍니다

레일을 그 위치에 맞춰서 달아 줍니다

중심에 맞춰 레일을 쭉쭉 달아주시구요

측판을 마저 끼우면 몸통은 완성입니다.

측판을 끼우실땐 망치로 툭툭~

그리고 이제 서랍을 만들어야 하는데요

서랍도 마찬가지!본드 발라서 짜임해주시면 됩니다!

서랍에 레일달기.서랍앞판 밑에서 부터 58mm 띄어서 줄을 그어 주시면 됩니다

측판에 60mm띄었으니까 서랍을 끼우게 되면 2mm 틈이 생기겠죠~

서랍에도 마찬가지로 중심에 맞춰 달아주시면 됩니다!

서랍 5개에도 쭉쭉쭉 달아주고~

이제 한번 서랍을 껴볼까요?

자 이렇게 서랍이 껴집니다^^상하좌우 2mm 씩 여유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뒷판도 본드와 대두못으로 고정해주시면 됩니다.;

상판은 바로 밑 보강대에서 피스로 고정~

손잡이도 손잡이 구멍이 가공되어 출고되기 때문에  손쉽게 장착 하실 수 있습니다.

완성된 모습입니다~ 이뻐~아주이뻐~

손쉽고 이쁘죠~설명을 써드리다보니;;굉장히 길어졌네요;;스압주의하세요 ㅠㅠ

내일은 더 알차고 재밌는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