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small business managemen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small business managemen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4월 30일 토요일

롱테일전략 구글 애드센스가 이용한 광고시장 수익성 전략

롱테일의 정의
[편집] 경제학적 설명
전통적인 시장에서는 어느 한 종목에서는 보통 잘 팔리는 상위 20%가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한다고 하는 파레토 법칙에 따르고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과 자원을 가진 매장에서는 잘 팔리는 물건에 보다 집중하여 전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베스트셀러 책을 잘보이는 곳에 커다랗게 쌓아놓고 판매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소매점의 경우 재고 및 상품 매장 진열 공간의 제한 문제로 인해 잘 팔리는 물품에만 집중하여 마케팅하고 나머지는 재고가 되어 처치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의 인터넷등의 기술의 발달로 재고나 물류에 드는 비용이 종래보다 훨씬 저렴해졌다. 특히 일반적인 소매점에 비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비즈니스의 경우 베스트셀러와 함께 그동안 간과되어 온 비인기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개별적으로는 비인기 상품도 전체적으로 모이면 틈새 시장을 만들 수 있다. 실제로 아마존과 같은 인터넷 기반 기업에서는 이렇게 활성화된 틈새 시장이 매출의 20~30%에 육박하여 전체 이익면에서도 많은 부분에 기여하게 된 사례가 있는데 그리 많이 팔리지 않는 서적들이나 일부만이 좋아하는 종류의 음반이라도 효과적인 판매와 물류를 통해 많은 이윤을 창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에서 전통적인 파레토 법칙에 반대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게 되었으며 이를 "롱테일 현상"이라고 한다.

[편집] 머리와 꼬리
롱테일을 이야기할 때 '머리'와 '꼬리'라는 말이 사용된다. 서적 판매의 경우 '머리'는 현재 매장에 많이 진열되어 있는 많이 팔리는 상품들을 말하며 '꼬리'는 상대적으로 판매량이 적은 그 이외의 상품을 말한다. 예를 들면 교보문고와 같은 대형 서점에 있는 모든 제품이 '머리'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우선 순위에서 밀려 진열에서 밀린 수많은 다양한 비인기서적들을 '꼬리'라고 본다. 또 '베스트 셀러나 사람들이 많이 알고 있는 작품 또는 인기 블로그를 '머리'로, 그 외의 책, 작품, 블로그 등을 '꼬리'라고 보는 경우로도 롱테일을 설명할 수 있다[1]

공개된 여러 문서에서 롱테일의 '머리'와 '꼬리'의 의미는 의미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반 통계학적 의미와는 약간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계에서는 분석하고자 하는 사건과 통계를 내는 사건이 동일해야 하며, 통계를 통해 랭킹을 매기는 순간과 현상을 설명하는 순간이 일치해야 한다. 분석하고자 하는 사건이 순이익인데 통계를 내는 사건이 베스트셀러라면 엄밀한 통계에서는 오류에 해당된다. 하지만 롱테일의 해설에서는 통념상 베스트셀러가 순이익과 유사하리라 보는 시각을 가정하고 있다. '머리'를 정하는 통계 시점과 '꼬리'를 정하는 통계 시점이 시간적 불일치하에 설명되기도 한다. '머리'를 정하는 시점은 오프라인등과 같은 기존 방식의 시스템하에서이며 '꼬리'를 정하는 시점은 온라인등과 같은 새로운 방식의 시스템 하에서라 가정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는 실생활의 문제가 다양하며 롱테일의 적용범위가 넓음에 기인하지만 '머리'와 '꼬리'를 엄밀한 통계학적 의미로 적용한다고 해서 롱테일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1]

[편집] 수학적 설명
수학과 통계학에서는 롱테일이 나타나는 특정한 분포의 그래프는 오랫동안 잘 알려져온 것들로 예를 들어 '지프의 법칙'(Zipf's law), '멱함수'(Power law), 파레토 분포(Pareto distribution)들에서 볼 수 있다. 이중 파레토 분포에 나타난 긴 꼬리 형태가 롱테일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분포는 실생활에서 자주쓰여지는 단어의 빈도나 인구와 보유재산을 나타낸 분포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파레토 법칙은 이러한 분포의 그래프에서 발생빈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좌측의 소수의 부분과 그 나머지 발생빈도는 낮으나 그 나머지 부분의 Y축의 0에 수렴하는 부분이 각기 대응되는 가치가 같을 수 있다는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Pr(X > x)를 발생량의 파레토 누적 분포 함수라 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X는 파레토 분포에서의 확률변수이며 X의 확률은 위에서 주어진 함수에서 항상 x보다 크다. 파레토 누적 분포 함수를 표로 만들면 좌측이 확률이 크고 우측이 확률이 작은 표가 만들어 질 수 있다. xm과 파레토 지수로 불리기도 하는 상수 k는 0보다 큰 실수이며 x는 0에서 양의 무한대까지 실수로 표현된다.

파레토 분포로 어떤 사건들을 나타냈을 때 T 는 그래프의 X축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마지막 도수로 최우측에 그려진다. P 는 가장 빈번한 확률인 최좌측 도수에서 T 까지의 범위 안에서 Pr(P > x) = 0.8Pr(T > x)의 식으로 표현된다. 즉 전체 모수의 누적확률분포의 80%는 가장 최상위 확률도수에서 P 까지 구간의 누적확률분포와 같다. 롱테일 현상 에서는 P 에서 T 까지의 구간이 더 길게 늘어 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실제적 확률을 결정짓는 한계 기준인 T 가 새로운 사회의 다양성 요구나 다양한 기술의 혁신 등에 의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그래프에서 누적확률분포 상위 20%의 사건들의 누적된 가치(예:상위 20%의 순이익)가 나머지 P 에서 T 까지 구간(롱테일의 꼬리부분)의 누적확률분포 사건들의 가치(예:이전 하위 80%에 새로운 꼬리 확장으로 생긴 순이익)와 비교하여 충분한 경제적 이익을 내거나 대등하거나 심지어 더 많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편집] 롱테일 비즈니스 분류
롱테일로 인해 만들어지는 각종 비즈니스 종류들로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조합되어 이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편집] 필터링
고객이 정확한 것을 찾을 수 있도록 시장의 다양하고 복잡한 것들을 효율적으로 잘 여과하여 수요와 공급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 주는 서비스이다. 대표적으로 구글과 Yahoo! 같은 검색 엔진과 del.icio.us 같은 북마크 공유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정보와 재화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를 잘 정리하는 것이 필요한데 플리커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적절한 주제어, 관련어인 태그를 붙여 이전에 불편하던 사진 검색을 편리하게 만들어 쉽게 찾게 만든 서비스도 있다.

[편집] 자동 수집 (Aggregation)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모아주는 서비스이다. 종래의 수단으로는 얻을 수 없었던 광범위한 상품 정보를 제공해 주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전달 방법으로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애플의 아이튠즈나 아마존의 음반 목록은 베스트셀러 뿐만 아니라 희귀하거나 별로 인기가 없는 곡도 취급하는 한편 대형 소매점인 월마트의 판매장에서는 잘 팔리는 음반만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의미로는 구독형 인터넷 정보를 의미하여 RSS로 되어 있는 간단하게 형식화된 정보를 구독한 웹사이트에서 모아서 새로운 내용이 나올 때마다 다시 그 웹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요약된 내용을 묶어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구독방식은 대형 포털형 뉴스사이트와 대등하게 소규모의 정보제공자들이 함께 묶여 정보 소비자에게 쉽게 전달되는 수단이 되고 있다.

[편집] 롱테일 비즈니스 도구
새로운 기술혁신을 통하여 꼬리 부분을 머리와 비교해서 보다 두터워지고 더욱 더 길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각종 도구나 서비스를 말한다. 쉽게 아무런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 자신의 블로그를 만들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사이트의 블로그나 아니면 특별한 프로그래밍 지식없이도 자신만의 독립된 블로그를 만들어주는 설치형 블로그, 음악을 간단하게 작곡하거나 매쉬업 하여 만들 수 있게 하는 애플사의 GarageBand나 팟캐스팅을 쉽게 인터넷상에 업로드하고 배포하게 해주는 Odeo같은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소규모의 제작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콘텐츠를 저렴하고 빠르게 또한 최소한의 인력과 자원만으로도 만들고 배포하여 소비자에게 접근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편집] 롱테일 비즈니스 참여자
롱테일 제작 도구나 서비스의 혜택을 받는 비즈니스 참여자들로 이들은 지금까지 충분한 수요를 찾을 수 없었던 사람들이다. 예를 들어 독립 음반 제작자, 소형 광고주, 블로거 등이다. 이들은 롱테일을 통해 만들어진 온라인 비즈니스의 직접적인 수요와 공급자가 되고 있다.


[편집] 롱테일 비즈니스 예
[편집] 온라인 소규모 광고업계
롱테일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로 광고업계에서는 구글 애드센스(AdSense)가 있다. 텔레비전이나 신문과 같은 대형매체들은 대형 광고주 위주의 광고시장이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광고주들은 소외되어 왔으며 또한 작은 규모의 매체 또한 소외되어왔다. 그러나 구글 애드센스는 이러한 작은 규모의 매체인 웹페이지들로 하여금 저렴한 광고 기회를 제공 하였고 결국 "티끌 모아 태산"식으로 구글 전체 매출의 50%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렇듯 구글 에드센스의 경우 적은 수요로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롱테일 부분의 매출 기여가 50%를 넘어섰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성과가 되었으며[2] 소규모 광고주와 소규모 광고업을 하는 사람들이 연결된 새로운 광고시장을 창출하였다.

[편집] 혁신연구개발
이노센티브(Innocentive)는 개방형 연구 개발 방법을 통해 혁신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전 세계 2007년 기준 10만 명 이상의 개인 연구원들이 온라인으로 참여하여 다양한 기술적 난재를 해결하고 있다.

[편집] 아마존닷컴
아마존닷컴은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랭킹 13만 위 이하의 책에서 올리고 있다. '잘 팔리는 책'보다 '잘 팔리지 않는 방대한 양의 책'들의 판매량이 더 높다.


[편집] 바깥 고리
Chris Anderson이 운영하는 롱테일 블로그
ZDNet 칼럼 "인터넷 산업「롱테일을 잡아라」"(윤석찬)

[편집] 관련 서적
Anderson, Chris (2006). The Long Tail: Why the Future of Business is Selling Less of More. Hyperion. ISBN 1-4013-0237-8.
롱테일 경제학(THE LONG TAIL), 크리스 앤더슨 저, 이노무브그룹 역, 랜덤하우스코리아, 2006년, ISBN-13 : 9788925502014
롱테일 법칙 - 웹 2.0 시대의 비즈니스 황금률, 스가야 요시히로 저, 예병일 역, 재인, 2006년, ISBN-13 : 9788990982186

[편집] 같이 보기
크라우드소싱
프리코노믹스
집단지성

[편집] 참조
↑ 가 나 Wired에 게재된 Chris Anderson의 롱테일 기사
http://ittrend.egloos.com/2300570
원본 주소 ‘http://ko.wikipedia.org/wiki/%EB%A1%B1%ED%85%8C%EC%9D%BC’
분류: 유통 | 경제학 | 경영학 | 통계학
숨은 분류: 독자연구 의심 문서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혹은 CC-SA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을 따릅니다.

2011년 3월 28일 월요일

스페인 몬드라곤의 기적

윤고은 기자 = KBS 1TV 'KBS스페셜'은 27일 오후 8시 '스페인 몬드라곤의 기적'을 방송한다.
   세계적으로 금융위기가 몰아닥친 2008년 많은 기업이 정리해고를 강행하는 가운데 스페인 바스크 지역의 몬드라곤 협동조합 기업(Mondragon Corporation)은 단 한 명의 해고 없이 안정적으로 성장했다.
   111개 협동조합, 120개 자회사 등 총 255개 사업체로 구성된 몬드라곤 협동조합은 스페인에서 9번째로 큰 기업으로, 세계 경제위기로 도산율이 증가하고 고용률이 20%나 하락했던 2008년에도 오히려 1만 4천938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예술적이고 독특한 외관으로 유명한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을 세운 몬드라곤 건설, 스페인 가전시장 30%를 차지하고 있는 파고르는 모두 몬드라곤 그룹의 협동조합 기업이다. 몬드라곤의 유통그룹 에로스키는 경제위기 속에서도 19%나 성장하며 164개 신규매장을 열었다.
   몬드라곤의 역사는 한 신부가 스페인 내전으로 폐허가 된 작은 마을에 부임하면서 시작됐다. 호세 마리아 아리스멘디 아리에타 신부는 마을 아이들을 위한 기술학교를 세우고 그 졸업생들과 함께 1956년 작은 석유난로공장 울고를 설립한다.
   호세 신부가 꿈꾼 기업은 모두가 주인이 되어 즐겁게 일하는 기업이었다. 울고는 같은 규모의 자본금을 출자한 조합원들이 주인이 되어 출발했고 지금도 8만 명에 달하는 몬드라곤 그룹 조합원들은 1인 1표를 행사해 이사진을 선출하고 경영진을 임명한다.
   몬드라곤에 해고란 없다. 조합원들은 위기가 닥치면 조합원 총회를 통해 함께 고통을 분담하고 한 기업이 어려우면 그룹 내 다른 기업이 돕는다.
   제작진은 "협동조합 기업은 과연 노사갈등과 정리해고, 비정규직 문제 등 여러 위기에 부딪힌 주식회사 기업의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살펴본다"고 밝혔다.

2011년 1월 17일 월요일

내일은 요런 식으로 낚아 봐야지,이런식으로 괴롭혀 봐야지.. 하며 콧노래를 부르고 마음이 설레고 잠도 잘 안오며

이메일이 보내지지 않아 공유기 부터 이것 저것 찾아 보니

공유기 로그파일에 나온 에러임.

결론은 사무실 내부에 바이러스 가 있다는 얘기 인데.

2011/01/18 09:00:05
SMTP Message: 421 4.3.2 421 Your ip is filtered by RBL(IP:118.37.111.??)(Caues:Blocked - see http://cbl.abuseat.org/lookup.cgi?ip=118.37.111.??)

2011/01/17 09:00:02
SMTP Message: 421 4.3.2 421 Your ip is filtered by RBL(IP:118.37.111.??)(Caues:Blocked - see http://cbl.abuseat.org/lookup.cgi?ip=118.37.111.??)

2011/01/16 09:00:00
SMTP Message: 421 4.3.2 421 Your ip is filtered by RBL(IP:118.37.111.??)(Caues:Blocked - see http://cbl.abuseat.org/lookup.cgi?ip=118.37.111.111)

2011/01/15 09:00:02
SMTP Message: 421 4.3.2 421 Your ip is filtered by RBL(IP:118.37.111.??)(Caues:Blocked - see http://cbl.abuseat.org/lookup.cgi?ip=118.37.111.??)

이게 걸렸으면 아래 링크로 가셔서 아이피에 해당 하는 주소를 입력 하면 약 1~2시간 후에 필터가 풀립니다.

http://cbl.abuseat.org/lookup.cgi

필터야 풀렸다고 하지만, 그럼 사무실에서 왜 스팸봇이 발견이 된걸까요?

근 5년을 유료로 사용하던 no-ad 로 검색을 해봐도 문제가 없고, 혹시나 해서 의심가는 피시부터 알약으로 돌려보니. 우장창 나옵니다.

바이러스[12]

누가 한일인지는 대략 짐작이 가네요.

바이러스2[15]

바이러스1[15]

이런 바이러스를 만들어서 열심히 만들어 뿌리는 사람들은 낚일만한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
먹음직스럽게 포장해서 파일을 올려두겠지요. 이때 기분은 낚시하는 느낌일까요?

낚이는 분들은 물고기와 같은 인생이 되어 기분이 씁슬하겠지만요.

바이러스를 뿌려서 생업을 유지 하는분들은,
이렇게 해서 돈을버는게 즐겁고, 재미있어서
내일은 요런 식으로 낚아 봐야지,이런식으로 괴롭혀 봐야지.. 하며 콧노래를 부르고
마음이 설레고 잠도 잘 안오며 희망찬 미래에 뿌듯하여,
미래를 설계하고 가슴속부터 나오는 행복감을 주체 못해 미소가득한 얼굴로 살아갈까요?

철천지의 고객들은 창작의 재미를 아는 분들이 모여 있으니 삶에 끌려 다니지 않으며, 계획대로 주도하는 분들이며,
대략 어떤 분들일지 상상이 갑니다.
좋은 고객들을 만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cbl.abuseat.org/ 라는 사이트는 처음이고 한편으로는 바이러스를 걸러주니 고맙기도 하고
새로운걸 배워서 감사해서 적어 보았습니다.
세상에는 창과 방패가 동시에 존재 하나 봅니다.

2010년 12월 11일 토요일

롯데마트 통큰치킨 너무싸게 팔아서 욕먹는 로빈훗?

롯데마트 통큰친킨 얘기 입니다. 이미 창고형 매장은 손님을 끌기 위해 여러가지 사회적인 이슈를 마켓팅에 반영 합니다.
유능한 마켓터들이 이슈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을 하고
요구르트를 10원에 팔기도 하고, 아래처럼 배추를 세일해서 이슈를 만들었지요.

롯데마트

이마트 피자나 롯데마트 통큰치킨은 자연스런 마켓팅의 접근 방식 입니다.
이걸 반대 하면서 반응이 커질수록 마켓터의 승리입니다.
적은 투자로 언론에 대서 특필되고 있지요.
너무 싸게 판매해서 욕을 먹는 로빈훗이 되어 좋아 할겁니다.
검색어로도 이미 패러디가 나오고 블로그를 메꾸어 나가니,
사실 배달 해주면서 이가격이라면 파격적이지만, 장작구이 2마리에 1만원 파는 치킨과 비교를 해야지
배달해주는 치킨과 비교를 해서는 안되는데 말이지요.

롯데마트1

빼빼로 데이도 성공적인 이슈로 고착화 시킨 두뇌들이 모여 있는 대기업 입니다..

철천지IMG_0114-20101124

소비자들도 그만큼 현명해 지고 있지요 이런 상술을 모르고 있지는 않아요. 구입 하면서 재미 삼아 바코드 검색을 해보니 가격 비교가 나오네요.

철천지IMG_0221-20101211

이건 그럼 현명한 선택.

철천지IMG_0222-20101211

역시 큰업체 인지라 PB 상품과 포장을 재포장한 내부 상품은 가격비교가 불가능 합니다.

철천지IMG_0235-20101210

철천지IMG_0238-20101211철천지IMG_0239-20101211

평소에 즐기던 커피를 검색해봤습니다. 수프리모 2,700원 묶음 상품이 저렴하지 않을수 있다는 농수산물은 재래시장이 저렴 하고.
옥션이나 지마켓이 단품구매에서는 저렴 할수도 있다는 공식들.
다히 스마트폰 덕에 3700원 절약 했습니다.

철천지IMG_0240-20101211철천지IMG_0241-20101210

마켓팅 효과가 언제 까지 갈지는 모르지만, 치킨시장 업계에는 뿌린 화두는 피해가 큰것 같습니다.
경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아 이익을 얻는 쪽이 있으면 잃는 쪽도 있게 마련 이니까요.
그럼 KFC 는 통큰 치킨과 영향이 없을까요? 어떻게 봐서는 배달 치킨이 타격을 받을게 아니라
KFC나 트럭위의 장작치킨이 타격을 받아야 하는데. 논란이 되는건 배달 치킨 입니다.
검색을 해봐도 KFC 아예 언급 조차 하지도 되지도 않고 있습니다.
이건 무슨 현상인지 결과가 궁금해집니다.
저만의 생각은 아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