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1월 14일 일요일

일반 중국 직장인들이 먹는 점심입니다.

제가 교육을 위해 한국손님들이 찾아 하면 항상 가는곳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중국 사람들이 먹는 점심 이지요.

과연 일반 사람들은 어떤걸 먹을까요? 지역마다 다르지만, 그나마 동북 쪽은 한국과 관련 있는 음식이 많습니다.

음식의 향도 그렇게 거슬리지 않습니다...

clip_image001

중국 시간 11시20분 점심으로는 조금 한산하지요.

clip_image002

12시가 다가오면 점차 사람이 많아 집니다..

clip_image003

이렇게 삼삼 오오 모여서 함께 식사를 하지요.

clip_image004

clip_image005

여러가지 방식이 있지만, 이렇게 선택을 하면 담아주는 방식 입니다. 美食 이라고 하고 가장 저렴 해요.

한국에서는 미식가 라는 이름으로 사용하지만 일본어로(미쇼끄) 중국어로도 맛있는 음식을 미식 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합니다.

동북 쪽은 식재료도 한국과 매우 유사 하지요.

clip_image006

이렇게 이것 저것 선택 했습니다. 너무 양이 많은것 같은데... 이렇게 해서 중국돈으로 13원 입니다.

clip_image007

이만두는 제가 좋아 하는 만두 입니다. 속에 부추가 잔뜩 들어가 있지요.

clip_image008

다른 직원들은 소고기 탕 같은걸 가지고 왔네요.. 중국돈 10원이라고 합니다.

clip_image009

이렇게 함께 모여 식사를 하지요.. 이것저것을 얘기 하면서요.

clip_image010

옆의 다른 직원이 선택한 메뉴입니다.. 빨갛게 보여도 매운 음식은 없습니다.

clip_image011

열심히 노력은 했는데. 도저히 다 먹지를 못하겠네요..

clip_image012

이광경을 보면 거대한 중국이 낮은 인건비로도 움직일수 있는 이유를 알수 있습니다.

맘만 먹으면 중국돈 3원으로 한끼를 해결 할수 있어요.. 

그러나, 날이갈수록 치솟는 물가는 스스로의 경쟁력을 점차 잃어 가고 있고.

내수시장을 발전 시키려 애를 쓰고 있습니다.

올라가는 부동산, 물가.. 과연 중국 정부는 슬기롭게 잘 할수 있을까요??.

아이고 내일 이나 걱정 해야 겠네요..

`수출공장' 중국, 내수로 눈 돌려

//

(뉴욕=연합뉴스) 김지훈 특파원 = 그동안 `전 세계의 수출공장'으로 인식돼왔던 중국이 수출의존형 경제구조에서 벗어나 소비 진작을 통한 내수 주도형 경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원자바오 총리를 비롯한 중국 지도부는 이런 경제구조의 전환을 그동안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관리변동환율제로 복귀하겠다는 발표나 일부 공장의 파업을 용인하고 임금 인상을 유도한 점 등은 중국 지도부가 이런 경제체질 전환을 얼마나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신호라고 뉴욕타임스(NYT)가 25일 분석했다.
지금까지 수백만 명에 달하는 중국의 근로자들은 고향을 떠나 공장 지역으로 이주해 저가의 수출제품을 만들어내는 데 주력해왔지만, 이제는 자신들이 만든 제품을 직접 수입해 소비해야 하는 소비자의 역할도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중국이 달러 페그제를 포기하고 위안화 환율의 절상을 용인키로 함에 따라 중국은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 국제사회의 쏟아지는 압력을 누그러뜨릴 수 있게 됐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효과는 바로 이번 조치가 국제무대에서 중국 수출제품의 가격경쟁력을 저하하는 대신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커지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점이다.
이에 더해 중국 정부가 근로자 임금 상승까지 유도함으로써 내수의 소비가 촉진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중국 지도부의 이런 선택은 사실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다.
유엔 추산에 따르면 중국의 1자녀 낳기 운동 폐지에도 불구하고 15∼24세의 젊은 인구는 이미 정점에 달한 뒤 감소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 최근의 젊은 근로자들은 더이상 과거 세대들이 참고 견뎠던 열악한 조건 속에서 일하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해보통대학의 노동법 학자인 리우 쳉 교수는 "임금인상이 국내 소비와 경제 구조조정에 직접 연관돼 있기 때문에 중앙정부의 임금인상에 대한 태도는 의심할 바 없이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장기간 경제성장률보다 임금인상률이 낮았기 때문에 중국은 지속적으로 수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hoonkim@yna.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